이게 정답이야라고 이야기하기는 어렵다.
그래도 무엇이든 본질에 맞게 정상적으로 작동되어야 그나마 좀 더 괜찮지 않을까 싶다.
20여 년 전에도 민관협력, 협치, 거버넌스 등의 단어를 많이 들어왔는데, 지금도 계속해서 강조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위기와 재난에 대한 '연대'의 중요성과 지역사회에서의 '관계'의 중요성이 더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당장의 위기와 재난 상황에서 연대보다는 각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더 많고, 연대도 효과적으로 작동되지는 않는 것 같다. 뭐랄까? 컨트롤 타워가 없는 것 같기도 하고, 어떻게 협력하고 조율해야 하는지에 대해 경험과 역량이 있는 사람들이 지역에 많지 않아서인가 싶기도 하다.
사회복지사로서 서울과 지방에서 근무하면서 3곳의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경험해 보았는데, 지자체장의 마인드에 따라서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과 모습이 다르기도 하다. 독립성이 보장된 협의체와 그렇지 않은 협의체, 사무국이 운영되고 있는 협의체와 그렇지 않은 협의체가 다르다. 민관협력의 모습도 다르다. 물론 민관의 협력이 아주 잘되고 있는 곳을 보지는 못했다. 관 주도이거나 민 주도이거나, 아니면 이도 저도 아닌 경우였다. 그나마 민이 적극적으로 하는 곳은 괜찮다.
개인적으로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역사회 연대를 만들고 이끌어가는 데 있어서 가장 좋은 체계라고 생각한다. 제대로만 운영된다면 말이다. 어제 진행된 복지사각지대와 관련된 좌담회를 보면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를 위해서 정부의 재원이 투입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지자체에서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독립성 보장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에서의 예산이 투입되어야 한다. 적정한 인원으로 구성된 사무국 운영과 법에 정해진 사업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예산 지원 말이다. 지방 정부의 책임도 중요하겠지만, 지역에서 민관협력이 더 잘 되려면 지방정부 예산으로부터 독립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공무원 조직의 하부조직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제대로 된 지역사회보장계획을 세우고, 모니터링을 하고, 민민간의 연대와 민관의 연대를 잘 만들어간다면, 위기와 재난 상황에서 충분히 컨트롤 타워 역할을 잘 할 거라 생각한다.
위기와 재난을 경험하면서 자꾸 새로운 체계를 만들기보다는 이미 구성되어 있는 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정비하는 게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지역사회보장협의체
https://youtu.be/SFr0u_gdm4Y
"Recommendations for policy proposals through a roundtable discussion on welfare blind spot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is is the definitive answer. However, I believe that anything should function properly according to its essence, which would make it somewhat better. Words like civil-military cooperation, collaboration, and governance were already prevalent twenty years ago, and they continue to be emphasized today. Especially recently, the importance of "solidarity" in crises and disasters and the significance of "relationships" in local communities have been highlighted. However, in immediate crisis and disaster situations, there are often more fragmented efforts rather than solidarity, and solidarity itself does not seem to function effectively. How should I put it? It feels like there's no control tower, and there may not be enough people with experience and capacity to collaborate and coordinate.
As a social worker who has worked in both Seoul and local areas and experienced three local community guarantee bodies, the role and appearance of the community guarantee bodies vary depending on the mindset of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guarantee bodies with guaranteed independence and those without, and between those with operating offices and those without. The form of civil-military cooperation also varies. Of course, I haven't seen a place where civil-military cooperation is working very well. It's either government-led or civilian-led, or neither. It's relatively better when civilians are actively involved.
Personally, I believe that the community guarantee bodies are the best system for creating and leading local community solidarity, if they are properly operated. While watching a symposium related to welfare blind spots held yesterday, I thought it would be good if the government's funding could be allocated to activate the community guarantee bodies. To ensure the independence of the community guarantee bodies at the local level, budget allocation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s necessary. It means sufficient budget support to operate the office with an appropriate number of staff and to carry out the projects specified by law. The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s is also important, but I think it would be better for local government budgets to be independent for better civil-military cooperation in the region. (There are many people who see the community guarantee bodies as subordinate organizations of public servant organizations.)
If the community guarantee bodies can develop proper community guarantee plans, monitor them, and foster solidarity among citizens and civil-military cooperation, I believe they can play a good role as control towers in crisis and disaster situations. Instead of constantly creating new systems while experiencing crises and disasters, wouldn't it be more efficient to maintain and improve the existing systems so that they can function properly?
'사회복지 Vision >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 Wor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서울 사회복지사의 밤 (1) | 2023.12.07 |
---|---|
죽음의 상황을 맞이하는 사회복지사 (0) | 2023.12.06 |
사회복지관의 역할? (0) | 2022.06.24 |
ESG 경영 교육을 듣고 (0) | 2022.06.21 |
직원 교육에 대한 생각 2 (1) | 2022.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