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종합사회복지관102 각 팀의 교육적 기능을 담긴 사업을 마을학교라는 이름으로 묶어보면 어떨까? 오래 전부터 생각해왔던 것을, 얼마전 팀장 워크샵에서 조심스레 이야기했습니다. 이것은 제가 사회복지관의 조직 구조를 조금 더 수평적, 조금 더 소통이 원활하게 하는 조직을 구상하면서, 함께 생각해왔던 것입니다. 영역별로 흩어져 있는 '교육 기능'을 마을 학교라는 이름으로, 주민의 주체성을 인정하고, 지역주민에 의해서 주민을 위한 다양한 문화/교육 사업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한 복지관에 흩어져있는 역량(자원)을 모음으로써, 지역주민에게 더 다양한 것을 선택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조직 내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을 전제로- 기존에 조직된 동아리나 진행되고 있는 교육의 방향도 재정비하고, 사회복지의 서비스, 조직 기능이 유기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핵심 키워드로는.. 2016. 11. 2. 김제사회복지관 정수현 과장님 작년(2015년)에 팀장워크샵을 하면서, 2016년에는 팀 단위 워크샵을 진행할 수 있도록 연수를 계획하고 예산 편성을 했습니다. 그리고 올 해 하반기부터 사례관리팀을 맡으면서 '사람을 만나는' 워크샵을 구상했었고, 복지관 사례관리자들에게 누구를 만나고 싶은지 생각해보라고 했었습니다. 그래서 저희 사례관리자 김상은 사회복지사가 복지순례를 다녀온 학교 선배로부터 정수현 과장님을 추천받았다는 이야기를 했고, 저도 약간의 인연이 있었는데다가 여름에 정수현 과장님이 광교에 방문했을 때 (복지관 대청소 하느라) 정신없이 마중했던 미안함도 있고 사례관리자로 좋은 가치를 전하고 있는 선생님과 소통을 하고 싶어서, 방문하기로 정했습니다. 또 제가 '사람을 만나는' 워크샵을 기획한 이유 한 가지가 사회복지사들이 자아성찰.. 2016. 11. 1. 2016 팀장 워크샵 내용 간단 정리 2016년 10월 28(금)에 진행한 팀장 워크샵의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1. 미션과 비전 2. 학습조직 3. 소통 4. 조직문화 5. 팀별 방향성 6. 홍보 7. 자원봉사 8. 후원 등으로 구분할 수 있겠습니다. 팀장 워크샵 때에는 가장 당면과제라고 생각한 '소통'에 대해서 먼저 진행되기는 했습니다. (여기서는 자세한 내용을 올릴 수는 없겠네요) 1. 미션과 비전 짧은 시간 내에 논의되기는 어려웠습니다. 이에 2017년 초에 전사적인 논의 과정을 거치기로 했습니다. 2015년 개관을 하면서, 이 부분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도 있습니다. 2. 학습조직 이 부분은, 2016년에 서울형 평가지표 개발과 관련한 내용을 토대로, 저희 기관에 맞게 구성해서 논의했습니다. 직원 교육.. 2016. 10. 31. 2016 직원 아이디어 공모전 과정과 소감 & 결과보고 정리 오늘 직원들과 아이디어 나눔을 했습니다. 전에 일했던 반포종합사회복지관에서는 프로포절을 작성했었는데, 당시 팀장님들이 직원들의 부담을 줄이고자 아이디어 공모로 바꿨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2015년 이 곳 광교종합사회복지관에 와서는 직원들 대상으로 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우리 복지관이 신규 복지관이기 때문에 사업 개발이 필요했고, 지역주민들에게 필요한 것을 잘 아는 사람들은 직접 주민을 만나고 소통하는 직원들이란 것, 또 기관의 경험이 부족하고, 직원들의 연차가 작기때문에 성장을 할 수 있도로 돕는 매개들이 필요했습니다. 2015년에는 팀장들의 부담을 줄이고자, 팀장들을 수퍼바이저로서 기능하게 하고 사회복지사들만 참여를 시켰습니다. 그때는 정말 개관한지 얼마되지 않은 시점.. 2016. 10. 18.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