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교종합사회복지관102

사례관리 매뉴얼 4차 모임 사례관리팀과 매뉴얼 관련해서 4번째 모임을 가졌습니다. 지난 번 두 선생님이 작성한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각자가 적용해서, 자료를 작성해왔지만, 아직 '문제제기'에 대한 내용에서 더 나아가지는 못했습니다. 그래도 문제제기에 있어서 많은 부분이 향상된 점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한 선생님이 작성한 문제제기는, 사례관리가 무엇인지로 시작해서 왜 매뉴얼이 필요한지로 작성되었고, 다른 선생님이 작성한 문제제기는 사례관리를 하면서 느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입장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제가 준 피드백은, 1) 문제제기를 풀어쓰는 방식을 다르게 하자. - 매뉴얼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지?- - 어떤 매뉴얼을 만들고 싶은지 - 그래서 이렇게 매뉴얼을 만들었고, - 이 매뉴얼이 누군가에게 잘 활용되었으면 좋겠다는 의지.. 2016. 9. 21.
사회복지 실습? 수퍼바이저와 실습생 1:1실습은 어떨까? 1. 실습생이 수퍼바이저와 사업을 보고 지원 2. 면접은 실습생이 면접자가 되고, 수퍼바이저가 피면접자가 된다. (예: 실습을 통해서 무엇을 배울 수 있습니까? 실습 수퍼비전은 얼만큼 주실 수 있습니까? 수퍼바이저님의 강점은 무엇입니까?) 3. 물론 이런 면접과정을 통해 선정은 수퍼바이저가.. (이 부분에 대한 고민이 더 필요하겠다) 2016. 9. 15.
사회복지 책무성과 조직시민행동_직원내부교육 2016년 직원교육을 계획할 때, 팀장 직급 이상 직원들이 연 1회 이상 직원들을 대상으로 직원교육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로서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회복지책무성'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에 대해서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전 직장에서 오랜시간 교육을 받았고, 조직문화로서 강조되어왔던 내용이었습니다. 제가 지금 일하고 있는 기관이 신생 기관이고 조직문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책무성과 조직시민행동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직원교육을 통해 사회복지 책무성(책임감)과 조직시민행동을 이해하고, 복지관 직원으로서 고민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사회복지 책무성은 사회사업 프로그램 혹은 조직이 주어진 자원을 가지고 어떤 구체적인.. 2016. 9. 9.
마을 조직화사업에 대한 고민 양원석 소장님의 사회사업 생태체계 개념에 대한 책을 읽다가 한 프로세스 도식을 보는데 지금 복지관의 조직사업에 대해 생각해보게 됩니다. 작년 3월부터, 별무리란 이름으로 진행하고 있는 마을 공동체 사업이 있는데, 마을 주민과 소통하며, 마을지기를 모으고, 별숲나눔터라는 품앗이 육아 공동체도 만들어가고, 마을시장 기획단을 모아서 마을 시장도하고, 마을 꽃길 조성이나 주차장 환경 개선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름 속도를 빠르게 내지 않고, 주민과 소통하면서 가고 있는데 최근에 복지관이 주민회의를 하지 않았으면 좋겠단 의견이 비공식적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복지관은 그냥 일회성 행사를 통해서 마을과 함께 하고, 주민의 의견 수렴, 결정은 자치회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으로 이해되었습니다. 생각해보면, 맞.. 2016.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