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교종합사회복지관102

사회복지실습지도 기획에 앞서 Q1. 어떤 실습을 해야 할까? : 기관, 사회복지사, 당사자, 실습생 모두에게 유익한 실습 : 사람을 세우는 실습 : 사회복지의 진보(進步)를 도울 수 있는 실습 Q2. 몇명이 필요할까? : 실습 수퍼바이저 당 2~4명 Q3. 실습기간은 얼마나 할까? : 3~4주간 : 2017년 1월 중 : 구정 연휴는 어떻게 할 것인가? : 충분한 평가(피드백)가 이뤄질 수 있도록 Q4. 모집은 어떻게 할까? : 협약 맺은 학교는 어떻게? : 공개 모집 : 사회복지사협회 홈페이지 온라인 홍보 : 복지관 홈페이지 홍보 : 복지관 자원봉사자에게 혜택을 주어야 하는가? 주지 않는 것으로 Q5. 신청서는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 학교에 대한 편견이 없도록 : 최소한의 정보 Q6. 실습생 모집시기는 언제여야 할까? : 대학.. 2016. 10. 18.
사례관리 매뉴얼 5차 모임 4차 모임 때, 사례관리자들에게 그동안의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함께 매뉴얼의 도입부를 작성하도록 했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사례관리자들간에 협업을 한 것들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오늘 그 결과를 가지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작성한 문서는 많이 정제된 글이었습니다. 수고한 흔적이 보이더군요. 그래도 수퍼바이저로서 질문을 던졌습니다. 질문에 대한 생각은 각자의 몫으로 (물론 모임에서는 이런저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1. 매뉴얼을 만든 목적 한 문장 한 문장 차근히 읽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사례관리 매뉴얼의 목적은, - 가치와 관점을 공유한 기준과 방안 - 누가 보다라도 쉬운 매뉴얼 로 보여집니다. 가. 중요한 가치와 관점이 무엇인가? 나. 적용하는? - 무엇을? 가치와 관점을 적용하는? - 누구에게? 당사.. 2016. 10. 13.
후원 스터디 (3) 오늘은 후원금 배분에 대해서 나누었습니다. 2015년 후원금 이월금에 대해서 확인해보니, 지정 후원금 이월금은 2016년 2월 이내에 100% 집행이 완료되었고, 비지정 후원금 이월금은 2016년 10월에 100% 집행이 완료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2016년 비지정 후원금 잔액 상황을 확인해보았습니다. 크게 5월에 진행했던 바자회 모금액, 은행 등 단체에서 후원한 기금, 개인 기부자의 후원금, 일시 후원금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 이 후원금을 세분화 해보면서, 배분 사업 매칭을 시켜보았습니다. 비지정 후원금이라고 하더라도, 기부자가 원하는 배분처를 확인하면서 매칭 시켰습니다. 그리고 2016년 10월~12월 중에 후원금으로 지출될 사업들 - 지역사회보호사업(어르신 나들이, 이미용, 생신잔치, 멘토.. 2016. 10. 12.
후원 스터디 (2) 두 번째 후원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저, 지역조직 팀장, 사례관리 담당 사회복지사 1명, 지역사회보호사업 담당 사회복지사 1명이 모였습니다. 먼저, 지난 번 스터디에서의 내용을 리뷰하고, 오늘은 '후원 관리'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후원 관리를 구분해보자고 물었더니, '후원자 관리', '후원금 관리', '후원품 관리'로 이야기 되었습니다. ※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 재무회계규칙에서는 후원 관리를 '후원금 관리' 측면에서 기술하고 있습니다. 후원금의 수입, 지출의 내용을 공개히여야 하며 그 관리에 명확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함. - 후원금 발급 목록 장부 비치 - 후원금 발급 목록 장부 비치 - 후원금의 수입 및 사용 결과 보고 - 후원금의 용도 외 사용금지 구분된 세 영역과 관련하여 다 이.. 2016. 1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