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185

사회BOOK지사, 유월에 소풍 한 달에 책을 몇 권 읽으시나요? 아니, 일 년에 책을 몇 권 읽으시나요? 우리나라의 독서량은 2017년 국민실태조사에서 연 8.3권으로 나타났습니다. 2015년 UN에서 조사한 결과에서도 조사대상 192개국 중에 166위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사진 https://cdn.pixabay.com/photo/2015/02/12/13/04/juice-633709_960_720.jpg) 사실 이 글을 읽으면서 일 년에 8.3권? 많이 읽네라고 생각하는 분이 계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사실 저도 이 글을 쓰기 위해서 자료들을 찾았을 때, ‘어 생각보다는 많이 읽네’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왜냐하면 제 주변만 봐도 성인 중에 책을 읽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이 8.3권의 종류는 무엇일까?란 궁금증도 생깁니다. .. 2019. 6. 27.
사회복지사는 왜 학습을 해야 하는가? 1. 사회복지실천 그 자체가 학습이다. 저는 개인적으로 사회복지사가 하는 사회복지실천이 학습(또는 학습의 연속)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진 http://cfile22.uf.tistory.com/image/2433773A546E9BE9053763) 학습은 연습이나 경험의 결과 일어나는 행동의 지속적인 변화를 말하는데, 사회복지실천(또는 사회사업)은 사회복지-형식지(Explicit Knowledge)가 사회복지실천-암묵지(Tacit Knowledge)로 바뀌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사회복지사의 성장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사회복지사의 실천은 지식과 기술을 기반으로 한 경험입니다. 그리고 경험이 지식이 되는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지식 → 경험 → 지식 → 경험 → ∞ *형식지 : 문서.. 2019. 6. 20.
사회복지사에게 자유의지란? 한국 사회복지사 선서에는 '나는 나의 자유의지에 따라 명예를 걸고 이를 엄숙하게 선서합니다'로 마지막 문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많은 사회복지사들이 사회복지사 선서를 읽었을 때 '자유의지'라는 단어를 읽었을 텐데, '자유의지(free will)'는 저에게 가장 인상적으로 다가왔습니다. 왜 그런지 생각해보면, '자유'라는 단어가 주는 가슴 벅참과 '의지'라는 단어가 주는 결연함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자유의지가 마음에 크게 울림을 주었지만 그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크게 고민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살펴보았습니다. [자유의지는 무엇인가?] 자유의지의 뜻은 '자신의 행동과 의사 결정을 스스로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뭔가 알 듯 하면서도 들여다보면 어려운 말입니다. 스스로 한다는 .. 2019. 4. 22.
2018 사회복지관 평가 결과 공개에 대한 개인시점 2018 서울시 평가에 대한 기대를 많이 했습니다. 뭔가 변화했구나. 단순히 실적이나 수치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본질을 생각하며, 변화를 모색하며, 좀 더 긍지를 가질 수 있겠구나라는 기대를 했었습니다. 기존의 평가에서 노출된 문제들을 줄여나가고, 시범평가를 통해서 좋은 방향들을 찾아가면서 준비된 평가라 생각되었습니다. 제시된 지표들의 설명이 다소 모호한 부분도 있었고, 현장 평가의 과정도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 또한 앞으로의 가능성을 생각하며 이해하려고 했습니다. 몇 곳에서 현장평가에 대한 다소 불만이 나왔지만 서로 동료애로 이해해보려고 했습니다. 처음 보내준 결과들에서의 통계, 수치 오류는 아쉬워도 많은 기관들이 아량을 보였고 다시 수정해서 보내줄 거라 약속했기에 기다렸습니다. 2019년 1월,.. 2019.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