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교종합사회복지관102

광교 직원들 지난 주 토요일, 서울 우리마포복지관까지 저를 응원하러 온 직원들이 고마워서 받은 사례금으로 한 턱 쐈습니다. 사진 아래 오른쪽부터, 복지관의 막내 윤희선 사회복지사, 안재현 지역조직팀장, 한종민 사회복지사, 박현진 사회복지사입니다. 안재현 팀장은 복지관 수탁에도 큰 도움을 주었고, 지역주민들과 좋은 만남, 소통을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직원들과의 친화력이 좋습니다. 한종민 사회복지사는 2년차로, 작년에 신입같지않은 노련미와 열심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복지관의 지역조직사업에 있어서 컨텐츠를 고민하고 주민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박현진 사회복지사는 1년이 조금 넘었는데, 진짜 홍보와 관련해서 센스가 있어서, 내용을 멋지게 만들어갑니다. 지금 열심히 김종원 선생님에게 홍보로 사회사업하기를 배.. 2016. 9. 7.
후원에 대한 논의 (1)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지역조직팀장, 사례관리자, 지역사회보호사업 담당자와 복지관 후원업무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오늘은 서로에게 질문들을 던져보았습니다. 1. 복지관의 후원 업무를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 라는 질문을 던져보았습니다. 먼저, 개발과 관리로 나눌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저는 모금과 배분으로 나누어보았습니다. 2. 개발, 모금을 어떻게 하게 되는가? 지역조직팀장은 개발이란 것을 이야기하기 전에, 무엇을 위한 후원을 해야하는지를 먼저 이야기해야 할 것 같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즉, 후원개발을 위한 상품(개인, 사업)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상품이란 단어가 맞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모금이란 측면에서 생각하면, 배분처(상품)가 있고, 그것에 맞는 모금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 2016. 9. 7.
사례관리 매뉴얼 스터디(3) 지난 주 스터디에서 주어진 과업-사례관리 매뉴얼을 만드는 목적, 용어 정의 등에 대한 것에 대해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매뉴얼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생각해 볼때, 사례관리자 혹은 기관을 위해서만이 아닌, 당사자가 봤을 때에도, 쉽게 편하게 읽을 수 있는 매뉴얼이란 생각속에서 문장에 대한 피드백을 주었습니다. 즉, 문장을 풀어서 작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여기서는 피드백 중에 몇 가지만 추려서 소개합니다. 1. '전문성'이란 단어를 빼자. 사례관리 매뉴얼에서 '전문성'이란 단어는 사용하지 말자고 했습니다. 이것을 대체할 수 있는 용어를 생각해 볼 때, 역량, 관점 등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일관성'이란? 매뉴얼의 목적에서 '일관성'은 중요한 것일 수 있습니다. 그.. 2016. 9. 6.
광교종합사회복지관 소식지 이벤트 드디어 2016년 상반기 기관소식지 「별무리광교 vol.002」가 발행되었습니다! 발행기념으로 열독인증 이벤트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① 먼저, 광교종합사회복지관 페이스북 페이지 좋아요를 클릭해주세요. – 복지관 페이스북은 제일 하단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시면 바로 갈 수 있습니다! ← 이 버튼입니다 ! (혹시 못찾으시는 분들은 www.facebook.com/gwanggyowc ) ② 「별무리광교 vol.002」를 열독(열심히 읽다)하는 사진을 멋지게 찍어서 성함과 함께 복지관 카카오톡 옐로아이디로 보내주세요~ – 카카오톡 실행 후 친구 찾기에 ‘광교종합사회복지관’을 친추해주세요! 그럼 카톡메세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③ 2가지 미션을 모두 달성한 선착순 60명을 대상으로 소정의 경품을 드립니다. 많이 참.. 2016. 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