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185

지역사회보호사업 담당자 슈퍼비전 담당자의 슈퍼비전 요청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2017년 지역사회보호사업 - 효율적인 도시락 사업 모니터링에 대한 피드백 요청 : 현재 매일 모니터링, 격 월 직접 모니터링 실시 : 매일 모니터링의 경우, 정확하지 않고 제대로 된 모니터링이 어려움. 격월 직접 모니터링의 경우, 시간적 소요가 많이 되며 도시락 외의 상담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음 - 도시락 서비스 담당자의 역할 : 단순 서비스 제공자인자, 상담까지 이어져야 하는 것인지 역할이 모호함 2. 멘토링 - 멘토링 사업이 프로그램화(구조화)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사례관리팀에서 해야 하는 멘토링은 어떤 것일지 알고 싶음 아직 담당자와 이야기를 나누지 않았지만, 슈퍼비전 요청서를 보고 마인드 맵으로 그려본 그림은 위와 같습니다. 1.. 2017. 3. 28.
(실습 6) 논문을 읽고 사회복지 현장실습에 대해서 고찰해보세요. 며칠 전 받아본 한국사회복지학 제69권 제1호(2017. 2)에 사회복지실습과 관련된 논문이 수록되어 있어서 읽어보았는데, 사회복지 현장실습에 대한 주요한 과제들을 던져주는 것 같아서, Wish에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사회복지 현장실습 참여 대학생의 권리에 대한 탐색적 연구-학습권 및 노동권의 측면에서(김수정, 김은정)’를 읽어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 1. 서론 사회복지 현장 실습이 예비 사회복지사들에게 전문가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유능한 사회복지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주요한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실습 기관의 부족, 실습 커리큘럼의 부재, 실습내용의 비전문성,대학과 실습기관 간 유기적 관계형성 미흡 등의 문제가 제기됨. 이와 관련하여 제도적 개선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지만,주로 사회.. 2017. 3. 21.
사회복지사 전재일의 미션과 비전 제가 일하고 있는 복지관의 미션과 비전을 다시 세우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구성원 개인과 팀의 미션과 비전도 생각해봅니다. 저에게도 과업이 떨어져서, 저의 미션과 비전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1. 미션 미션은 저의 존재의 이유입니다. 제가 사회복지사로서 살아가야 할 방향입니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조직에 맞춘 저의 미션이 아닌, 사회복지사 전재일로서의 미션이 생각났습니다. 사회복지사로서의 저의 정체성, 방향이 명확해야지, 조직에 맞춰서 억지스럽게 생각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사회복지의 가치는 사회정의와 민주주의 가치 실현입니다. 궁극적으로 사회복지사로서의 저의 가치도 동일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이런 가치가 사회복지관이 가져야 하는 가치이기도 합니다. 2. 비전 미션.. 2017. 3. 14.
(실습 5) 사회복지실습 교육 사회복지실습 연재 4에서 사회복지실습 교육에 대한 간단한 조사 결과를 보여드렸습니다. 설문지를 통한 조사 결과에 대해서 별도의 분석을 하지 않는다고는 했지만 이번 연재5 를 시작하면서 저의 느낌을 이야기한다면, 적어도 설문에 응답해준 46개의 기관의 사회복지실습 교육은 유사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조금씩 차이들은 존재합니다.) 이번 연재에서는 제가 일하고 있는 곳에서의 사회복지실습 교육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제가 전에 일했던 곳에서의 사회복지실습 교육의 연장이라고 할 수는 있습니다. 물론 교육의 내용은 상당 부분 다르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실습 교육 중 주요한 내용을 공유하겠습니다. 1. 사회복지사의 자기 이해 제가 예비 사회복지사인 사회복지실습생에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전달하는 교육이 '.. 2017. 3.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