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185 2017년 2월 23일.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회장 선거에 참여합시다. 이번에 서울시 사회복지사협회장 선거 투표 참여율을 보니 67.08%이더군요. 제 기억엔 3년 전 선거에서도 68% 정도였던 것 같습니다. 생각보다 높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많은 분들이 선거에 참여해주셨고, 좋은 결과들을 가져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한국사회복지사협회장 선거가 2월 23일(목)에 있습니다. 지난 3년의 시간들을 돌아보면, 아쉬움이 많습니다. -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좋지 않은 일로 언론에 노출되기도 했습니다. - 사회복지사들의 반인권적이고 비윤리적인 일탈도 자주 뉴스에 나왔습니다. - 사회복지사들의 처우의 열악함에 대한 기사도 있었습니다. 참 안타까운 일입니다. 다시는 이러한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선거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난 선거 때에는 온.. 2017. 1. 24. 사회복지관에서의 사회복지사에 대한 이야기 [사회복지실습 오리엔테이션 이후.. 실습생들에게 쓴 글입니다] 오리엔테이션 과정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 중심으로 설명을 했기 때문에 여기서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1. 사회복지관의 정의에서 살펴보기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무엇일까요? 사회복지사의 정의를 살펴보면서 이해를 해보겠습니다. 사회복지관의 정의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일정한 시설과 전문인력을 갖추고 지역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복지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종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을 말한다."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 5호) 입니다. 즉, 지역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는 지역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이끌어 내는 일 지역사회의 복지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는 일.. 2017. 1. 5. 1. 한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살펴보기 Maluccio는 "사회복지사가 아동, 가족을 위해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거든, 거시적인 수준의 행정 및 정책 실무에 관여하든, 또는 연구활동을 수행하든 윤리는 사회복지실천의 중심에 있다"라고 강조합니다. 전문가 윤리를 지침화 시킨 것이 '윤리강령'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는 1982년에 윤리강령을 제정하고, 2001년까지 시대의 상황에 따라 3차 개정까지 진행하였습니다. 그런데 경험적으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나오는 사회복지사들에게 윤리강령을 정독해본 경험을 물어보면 대다수의 사회복지사들이 한 번도 윤리강령을 읽어본 적이 없다는 답변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Maliccio가 이야기했듯이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사다운 실천을 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을 잘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윤.. 2016. 12. 27. 공유를 배운다는 것은? 퇴근하면서 지금 쓰고 있는 글들을 살펴보고, 정리해봅니다. 지금은 사례관리 매뉴얼의 글을 보고 있습니다. 볼 때마다 계속 수정이 가해집니다. 그동안 공부하고 실천하고 느꼈던 생각들이 한 문장 한 문장 다듬으면서 고쳐집니다. 어제 신입직원에게 강점관점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면서는 2주전에 참석했던 사례관리 톡투유 콘서트에서 대담자들이 했던 이야기들이 생각났습니다. 강점관점의 내용 속에서 재정리가 되었습니다. 지난 1년간 수십권의 책을 읽었는데, 책을 보면서 알게 된 지식이나 생각들이 연결되어지는 것을 조금이나마 느껴봅니다. 이게 독서의 힘인 것 같습니다. 오늘도 사례관리팀 직원들과 이야기 나누면서, 2017 년을 기대해봅니다. 조금씩 성장하던 사례관리자들이 어느순간 가속이 붙어 몇 배로 더 빠르게 성장할 거.. 2016. 12. 20.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