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Vision/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 Worker

사회복지관의 역할?

by 전재일 2022. 6. 24.

[서울형 돌봄전달체계와 복지관의 역할]에 대한 소견

1. 나는 여전히 지역밀착형이란 이름에 대한 의문이 있다. 연구자와 토론자들도 이야기한 것처럼 지역밀착형 복지관은 이전의 마을지향 복지관과 무엇이 다른가라는 의문을 가지게 한다. 최초 동중심 복지관- 동 단위의 조직개편에 대한 부담 또는 불편함으로 지역밀착형이란 이름으로 바뀌었는데, 지금 서울시가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이 사업의 취지나 최초 모델이 된 사례들을 볼 때는 동 또는 마을 단위로의 조직 개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이것이 마을지향이라고 불리었던 것과의 차이일 것이다.

2. 나는 역할의 변화라고 설명하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게 된다. 사회복지관, 그리고 그 안에서 일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달라졌다고 할 수는 없다. 다만, 이전보다 돌봄이라는 영역을 어떻게 사회복지실천으로 더 잘 풀어갈 수 있을까라는 고민의 과정들이라고 생각해본다. 그리고 모든 복지관이 같은 역할, 사업의 내용을 가질 수도 없을 것이다. 마을, 주민들의 욕구가 지역마다 같지 않기 때문이다.

3. 사회복지의 영역이 커진 만큼 인력도 늘어났지만 커진 욕구와 문제,  양적으로 볼 때는 사회복지관 인력의 수는 많지 않다고 느껴진다. 그래서 인력의 증원을 이야기하기도 하지만, 그렇다하더라도 마을, 주민들의 관계나 욕구 등을 위한 실천을 하기에는 부족하다. 그렇기에 지금의 논의가 되고 있는 것이고, 선택을 고민할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그래서 실천의 경험에서 나온 과정들이 지역에 직접 들어가서 함께 할 수 있는 주민들을 찾고, 관계를 이어가고, 그 과정 속에서 아젠다를 발견하고 또 이 아젠다를 풀어가는 실천을 하는 게 지금보다는 더 좋겠다고 생각하게 된다. 즉 방법론과 시각을 조금 달리하게 되는 거다.

4. 책무성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다. 우리는 사회복지실천 전문가이고, 전문가 윤리를 가지고 있고, 외부의 재원을 가지고 실천하기 때문에 요구받아지는 것이 있다.  어제 좌장이신 김용득 교수님이나 여러분들이 이야기한 것 중에 협력이 수단이나 방법뿐만 아니라 목적이자 결과일 수 있겠다는 의견에 적극 동의한다. 요즘 자주 거론되는 지속 가능함을 위해서는 결국은 주민 스스로에 의한 주민의 욕구와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게 궁극적인 목적이자 결과이기 때문이다.
(사회복지관 평가에서 사업의 성과에 대한 기준이 달라지면 좋겠다.)
그리고 협력의 모습은 다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해야한다.

5. 내 소견은 어제의 세미나가 유의미했다는 것이다. 연구자가 이야기했듯이 듣고보면, 뭐 뻔한데, 다른게 없다고 생각이 들지만, 단지 그 생각에서만 멈춰서는 안 될 것이다. 뻔하고, 이미 우리는 그렇게 하고 있다는 생각에 더해서 더 잘 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하고 찾아내고 실천하는 것이 사회복지실천 전문가인 우리들이 해야하는 일이다.

(이 글은 나의 성찰이고 되새김입니다. 누구에게 일반화하거나 강요할 수 없는 소견입니다. 그리고 더 공부하고 고민하고, 지금의 생각이 더 확장되거나 확실하게 될 수도 있고, 또는 완전히 바뀔 수도 있습니다. 어제 몇가지를 더 끄적인게 있지만 지하철 출근길에 핸드폰으로 생각나는대로 써본거라 pc로 다시 보면 고치고 싶은 문장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출근길 #어제에대한되새김
#나너우리에대한신뢰가중요
#눈피곤 #손가락아픔

Opinion on the "Seoul-style Care Delivery System and the Role of Welfare Centers" - The Rol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1. I still have doubts about the name "community-based" (지역밀착형). As researchers and debaters have discussed, community-based welfare centers raise questions about how they differ from previous village-oriented welfare centers. The name was changed to "community-based" to alleviate the burden or discomfort of the initial restructuring of welfare centers at the neighborhood level. However, when looking at the purpose of the project currently being implemen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cases that became the initial models, I believe that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at the neighborhood or village level is necessary, which is different from what was called village-oriented.


2. I question whether it is correct to explain it as a change in roles. We cannot say that the rol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social workers working within them has changed. However, I think it is a process of contemplating how to better integrate care into social welfare practice compared to before. Also, not all welfare centers can have the same role and business content because the desires of the community residents are not the same in every area.


3. As the scope of social welfare has expanded, the workforce has also increased, but considering the increased demands and problems quantitatively, it feels like there is not enough manpower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refore, there are discussions about increasing manpower, but even if that is the case, it is still insufficient to practice for the sake of community relationships, residents' needs, and so on. That's why the current discussion is taking place, and it seems inevitable to contemplate choices. Therefore, I think it would be better to find residents who can directly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maintain relationships, discover agendas in the process, and implement practices to solve these agenda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ractical implementation. In other words, it requires a slightly different methodology and perspective.


4. We can only talk about our responsibilities. We are experts in social welfare practice, and we have professional ethics, and we receive demands because we practice with external funding. I fully agree with the opinion that cooperation can be both a means and a purpose and result, as mentioned by Professor Kim Yong-deok, the chairperson, and you yesterday. Ultimately, for the sake of sustainability, which is frequently mentioned these days, the ultimate purpose and result is to enable residents themselves to solve their own needs and problems. (It would be great if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projects could be different in social welfare evaluations.) And w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form of cooperation can vary.


5. My opinion is that yesterday's seminar was meaningful. As the researcher mentioned, when you listen and watch, you may think that it's obvious and there's nothing different, but you shouldn't just stop at that thought. In addition to thinking that it's obvious and that we are already doing it, we should think about and find ways to do it better and put it into practice. That's what we, as experts in social welfare practice, should do. (This text is my reflection and self-contemplation. It is an opinion that cannot be generalized or imposed on others. Furthermore, I will continue to study and contemplate, and my current thoughts may expand or become more certain, or they may completely change. I wrote a few more things yesterday, but since I wrote them on my phone during my subway commute, there may be sentences I want to revise when I look at them again on my P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