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ㅈㄱㅈ488 2017년 2월 23일.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회장 선거에 참여합시다. 이번에 서울시 사회복지사협회장 선거 투표 참여율을 보니 67.08%이더군요. 제 기억엔 3년 전 선거에서도 68% 정도였던 것 같습니다. 생각보다 높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많은 분들이 선거에 참여해주셨고, 좋은 결과들을 가져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한국사회복지사협회장 선거가 2월 23일(목)에 있습니다. 지난 3년의 시간들을 돌아보면, 아쉬움이 많습니다. -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좋지 않은 일로 언론에 노출되기도 했습니다. - 사회복지사들의 반인권적이고 비윤리적인 일탈도 자주 뉴스에 나왔습니다. - 사회복지사들의 처우의 열악함에 대한 기사도 있었습니다. 참 안타까운 일입니다. 다시는 이러한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선거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난 선거 때에는 온.. 2017. 1. 24. 선생님은 어떤 분이신가요? "선생님은 어떤 분이신가요?" 사회복지 실습 선생님들에게 실습 종결할 시점에 마지막으로 묻고 싶은 말입니다. 실습을 시작할 때, 원노트에 자신을 소개하는 글을 쓰게했는데, 사회복지사와 실습 선생님 모두가 자신에 대한 소개글을 썼습니다. 그리고 수시로 소개 글을 수정하도록 이야기 했습니다. 이번 실습을 기획할 때부터, 사회복지 실습 선생님들이 자신을 발견하고 당당하게 자신을 소개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졌습니다. 사회복지사로서의 강점, 비전, 정체성을 찾아가는 실습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실습을 기획했습니다. 그래서 실습 과정이나 슈퍼비전 시간에 이런저런 질문을 해보고, 듣고, 교육을 했습니다. 오늘 실습 선생님들의 일지(워크샵 소감)를 읽으면서 고마운 마음이 들어서 이 글을 씁니다. 자신을 발견하.. 2017. 1. 19. 실습생들과 나눈 관점과 실천이야기 실습일지를 읽으면서, 드는 생각을 실습생들과 나누었습니다. 1. 사회복지사로 세상을 바라보기 욕구(사회복지욕구 다시보기, 우수명 저), 사례관리(복지관 사례관리 공부노트, 김세진 엮음)와 관한 책을 읽으면서 사회복지사의 관점의 중요성을 생각하게 됩니다. 그렇게 많이 듣던, 욕구기반과 강점관점기반의 실천에 대해서 고민하고 느끼게 됩니다. 사회복지사가 상황을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따라 사회복지사의 실천방법이 달라지고, 당사자의 삶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배웁니다. 더 나아가 사회복지사는 세상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아야할까요? 지금 대한민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황을 어떻게 바라보아야할까 생각해봅니다. '나는 내가 일하고 있는 직장에서의 역할을 떠나 사회복지사로서 무엇을 바라보고 있는가?'를 생각합니다. 2. .. 2017. 1. 18. 사회복지 욕구 다시보기 2017년 사회복지실습 겨울 실습생들과 함께, 우수명 선생님의 '사회복지 욕구 다시보기'를 읽었습니다. 읽고 난 후 드는 생각은, 첫 번째는, '욕구'에 대한 깊이 있는 생각을 읽어서 좋았다는 것과 '욕구도 당사자를 사람으로 존중하는 데서 바라볼 수 있구나' 는 것 두 번째는, 이 책이 쉽게 다가올 수도 있고, 어렵게 다가올 수도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단순히 대상자로, 수혜자로 바라본다면,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것에 대해서 기관이 줄 수 있는지 없는지에만 초점을 맞추게 되고, 욕구를 한정적으로 바라볼 것입니다. 하지만 당사자로서, 나와 같은 존엄성을 가진 인간으로서 바라본다면 더 많은 것을 바라볼 수 있고 다가갈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우수명 선생님이 "왜 사회복지사들은 욕구의 깊은 개념에 관심이 적을까.. 2017. 1. 13. 이전 1 ··· 58 59 60 61 62 63 64 ··· 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