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ㅈㄱㅈ488 실습지도에 원노트 사용후기(1) 실습지도에 원노트를 활용하니, 실습생들이 쓴 이야기들을 실시간 읽을 수 있어서 좋네요. 출근하면서 어제 일정에 대한 실습생들의 기록을 보면서 어떤 피드백을 줄 수 있을지 생각해보게 됩니다. 또 이번 실습에선 슈퍼바이저들도 하루 일지를 쓰는데, 실습생들이 슈퍼바이저의 생각을 정리된 글로 읽을 수 있는 것도 좋은 피드백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실습지도에서 복지관 사례관리자들의 역량도 함께 성장시키고 싶은 마음인데, 그러기위해서 제 자신이 더 애써야함과 동시에 사례관리자들에 대한 신뢰와 위임도 함께 되어야 함을 고민하게 됩니다. 성격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것에 대해서 바로 물어보거나, 때론 다그칠 때가 있어서 조심 또 조심해야겠다고 다짐해봅니다. 2017. 1. 6. 사회복지관에서의 사회복지사에 대한 이야기 [사회복지실습 오리엔테이션 이후.. 실습생들에게 쓴 글입니다] 오리엔테이션 과정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 중심으로 설명을 했기 때문에 여기서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1. 사회복지관의 정의에서 살펴보기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무엇일까요? 사회복지사의 정의를 살펴보면서 이해를 해보겠습니다. 사회복지관의 정의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일정한 시설과 전문인력을 갖추고 지역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복지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종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을 말한다."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 5호) 입니다. 즉, 지역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는 지역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이끌어 내는 일 지역사회의 복지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는 일.. 2017. 1. 5. 반가운 동료들 반포종합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할 때 함께 일했던 남자 동료들을 만났습니다. (사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정신보건 사회복귀시설인 서초열린세상 문경진 팀장, 반포종합사회복지관 명순빈 대리, 안성범 팀장, 김경완 주임, 그리고 저, 말아톤 복지 재단 최진수 팀장, 주간보호센터 은빛마을 김진형 팀장 어떻게 보면 일과 관계가 몹시 힘든 시기에 한 기관에서 함께 일했기에.. 이렇게 오랜만에 만나도 참 반가운 동료들입니다. 반포종합사회복지관을 떠난지 2년의 시간이 지났는데도 기억해주고 응원도 해줘서 고마웠습니다. 2017. 1. 4. 2016 한국 기독교 사회복지 포럼 2016 한국 기독교 사회복지 포럼 "기독교 사회복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신청은 :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dAWVeMy_-0_gQlbdhO-YHOyICZViB9FeR4_HD_cwRr6lLHw/viewform?c=0&w=1 2017. 1. 4.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