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ㄱㅈㄱㅈ488

사례관리 매뉴얼 4차 모임 사례관리팀과 매뉴얼 관련해서 4번째 모임을 가졌습니다. 지난 번 두 선생님이 작성한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각자가 적용해서, 자료를 작성해왔지만, 아직 '문제제기'에 대한 내용에서 더 나아가지는 못했습니다. 그래도 문제제기에 있어서 많은 부분이 향상된 점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한 선생님이 작성한 문제제기는, 사례관리가 무엇인지로 시작해서 왜 매뉴얼이 필요한지로 작성되었고, 다른 선생님이 작성한 문제제기는 사례관리를 하면서 느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입장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제가 준 피드백은, 1) 문제제기를 풀어쓰는 방식을 다르게 하자. - 매뉴얼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지?- - 어떤 매뉴얼을 만들고 싶은지 - 그래서 이렇게 매뉴얼을 만들었고, - 이 매뉴얼이 누군가에게 잘 활용되었으면 좋겠다는 의지.. 2016. 9. 21.
사례를 통한 사회복지사의 품위유지? 보수교육 강의에서 한 사례를 주고 생각을 나누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각 입장에서 품위를 어떻게 유지할까라는 질문이 주어졌습니다. --------------------- 5년차 사회복지사, 기혼자임. 한 기관에서 중요한 프로젝트를 잘 수행했으며, 승진대상자임. 그런데 승진심사에서 탈락되었으며, 그 자리에 법인에서 수평이동이 있었음. 이에 부당함을 느껴서 관장과 면담. 관장은 아쉬움을 달래주면서 다음에 기회가 되면 승진 시켜주겠다고 함. 그러나 당사자는 자신이 프로젝트도 잘 수행했는데, 법인 인사가 부당하다며, 법인에 직접 항의 함. 법인은 당사자에게 징계를 주겠다고 함. 관장은 이런 당사자의 행동을 못마땅하게 여김. 이런 상황에서 당사자는 어떻게 해야할까? --------------------- 위.. 2016. 9. 21.
사회복지사의 품위 어제 보수교육 중에 다루어진, 사회복지사의 품위에 대해서 생각해보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품위유지를 위해 돈, 지식, 노력, 정체성 등 수십가지의 단어를 이야기합니다. 위의 사진은 어제 교육에서 보여준 품위의 정의인데, 이 정의를 토대로 키워드를 생각하면, 지위-사회복지사, 위치-사회복지관 종사자, 품성-인격 또는 성격, 가치, 교양-예의 또는 지식 등일 것 같습니다. 먼저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무슨 일을 하는 가에 대한 자각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에 맞는 관점, 지식, 가치, 윤리관이 있어야 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능력-기술, 관계 등이 있어야 합니다. 또 한 가지 타인에 의해 사회복지사로서 평가되어지는 모습도 품위에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사료됩니다. 2016. 9. 21.
학습을 위한 학습능력 단순한 학습과정과 학습을 위한 학습조직의 차이 - 스스로에게 되물어 볼 수 있는 능력 이중고리 학습에 대한 그림을 보면서, 아하~라는 감탄이 나옵니다. 학습 조직.. 조직문화에 있어서.. 이렇게 피드백이 주어지고, 변화되어져 가는 구조를 만들어보고 싶단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어쩌면.. 이미 이렇게 되어져 있는 부분도 있겠단 생각이 듭니다. ^^ 2016.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