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ㅈㄱㅈ488 이원표 내과 노원에서 가장 소문난 내과인 이원표 내과. 건강검진센터까지 확장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침 8 시 30분에 갔는데도 많은 사람들이 있더군요. 원장님의 약력입니다. 원장님 진료는 사전 예약제입니다. 그래서 전 부원장님 진료를 선택했습니다. 이원표 내과의 위치입니다. 2016. 10. 29. 조직 내 소통이 잘 안된다면? 지금까지 정리하고 있던 밥 애덤스의 팀장리더십의 핵심개념 12장의 내용에 키워드를 검색해보면, 모든 장에서 '커뮤니케이션'이 검색된다. 그만큼 리더십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수단이란 것이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은 2번째 핵심개념으로 소개되고 있다. 2, 3년전 '소통'이 대한민국의 큰 화두였던 적도 있다. 그리고 지금은 '불통'이란 단어를 뉴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어제, 2개 팀과 평가회를 진행했는데, 거기서도 "소통이 잘 안된다"는 이야기가 쉽게 나온다. 소통, 커뮤니케이션은 일의 시작이고 끝.. 전부일 수도 있다. 우리가 일하는 것 자체가 소통의 과정일 것인데, 그것이 잘 안된다는 것은 일이 잘 안된다고 이야기하는 것과 같다. 그렇다면, 안되고 있다면 그 원인은 무엇일까? 먼저, 소통에 대해.. 2016. 10. 27. 글을 쓰고 나니.. 자신의 생각만 이야기하거나, 어떤 목적에 치우치다보면, 부자연스러움이 나오는 것 같다. 블로그에 글을 쓰면서 이런 생각을 많이 하게된다. 누군가가 보는 글이라면, 더 조심해야겠단 생각이 든다. 그것엔 책임이 따르기 때문이다. 최근에 페이스북 글을 올릴 때, 특히 정부의 실망스런 모습에 내 감정 그대로를 올린 후에, 잠시 시간이 지난 뒤에 나를 돌아보면서 반성을 해본다. 어쩌면 내 글이 누군가에게 패배주의를 보여주고, 심어주는 것일 수도 있단 생각을 해본다. 생각을 표현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좀 더 책임을 느끼자. #출근길 2016. 10. 26. 사회복지관 산업안전보건교육 자료 내일 복지관 직원들에게 산업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합니다. (사진출처 : 안전보건공단) 그리고 오늘 9시 즈음, 수원에도 지진이 발생했더군요. 그래서 내일 진행할 '산업안전보건교육 자료'를 보건복지부 사회복지관 운영관련 지침, 안전보건공단 교육자료 를 토대로 만들면서 일본 도교도방재홈페이지 '지진발생대피요령' 자료를 프리젠테이션으로 만들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참고로, *우리나라의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은 아래에 첨부합니다. 그리고 보건복지부에서 배포한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매뉴얼(SOP)' 입니다. 2016. 10. 24. 이전 1 ··· 70 71 72 73 74 75 76 ··· 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