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185 (생각) 한 사람의 용기가 얼마나 필요하고, 중요한지_미투 운동을 바라보며 Me Too 운동을 바라보며 최근에 #MeToo 운동이 전 세계적으로 펼쳐지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현직 검사의 검찰 내 성희롱실태에 대한 용기 있는 폭로와 함께 시작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문화계나 대학가에서도 오랜 시간 관행처럼 이루어졌던 성희롱, 성폭력에 대한 미투 운동이 확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좋은 이미지를 가졌던 유명 배우들의 성희롱 의혹과 사실이 제기되었습니다. [사진 http://www.segye.com/newsView/20171031001626] 저도 여러 직장이나 사회 곳곳에서 성희롱?성폭력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는 있었지만 이렇게 까지 사회 전반에 걸쳐서 만연하다는 것은 정말 충격이 아닐 수 없습니다. 마치 종기가 곪아서 크게 터지듯이 그동안 쌓여있던 문제들이 계속해서.. 2018. 2. 24. 문재인 대통령 내외분의 선물을 받다. #오늘의수다_3 어떻게 추천이 되어서 받았는지 예측이 됩니다. ㅎ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그것도 존경하는 대통령님의 선물이라서 더 감사합니다. ㅎ 개인적으로 대통령님께 많은 기대와 바람이 있습니다. 분명 임기 내에 잘 이루어주실 거란 마음으로,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응원합니다. #사회복지사 로서도 열심히 잘 살겠습니다. (아버지께서 ncck회장하실 때 받으시는 것을 옆에서만 봤었는데, 제가 받는 것은 처음이네요.) 2018. 2. 8. 사회복지사의 키워드 우리는 키워드(Keyword)를 '핵심단어'라고 알고 있고, 쉽게는 '자주 또는 중요하게 사용하는 단어'라고 인지하기도 합니다. [사진 : https://pixabay.com/en/word-cloud-words-tag-cloud-679933/] 어쨌든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어서 Naver 사전을 검색했더니, 몇 가지의 정의가 나오더군요. 데이터를 검색할 때에, 특정한 내용이 들어 있는 정보를 찾기 위하여 사용하는 단어나 기호 (국어사전) 기록의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제목이나 내용에서 추출한 단어나 구절로서 기록을 검색할 때 접근점으로 쓰인다. 키워드는 기록의 제목이나 초록, 전문(full text)에서 그대로 추출하거나,해당 개념에 상응하는 단어를 통제 어휘집에서 추출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는 보통 디스.. 2018. 2. 2. 줬다뺐는 기초연금~ 국민청원 전기장판 끼고 얼어 죽은 노인을 걱정하는 ‘줬다뺏는 기초연금 국민청원’은 인권문제입니다. 청와대 국민청원에 접수하려면 청원문을 어느 ‘분류’(카테고리)에 올릴 것인지를 정해야 합니다. 경제민주화, 안전/환경, 보건복지, 일자리, 교통/건축/국토 ... 이런 분류가 있는데 우리는 “인권/성평등” 분류에 올렸습니다. 집주인에게 주는 기초연금을 그 집 반지하에 세 들어 사는 수급노인에게 안 주는 것은 ‘차별’이라 보기 때문입니다. 생계급여 수준으로 수급노인의 삶을 강제하는 것은 국민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해야 할 국가가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이라 보기 때문입니다. “같이 좀 먹고 살자!” 아래 글은 지난 1월 18일 기초연금 국민청원을 시작하는 날에 은평시민신문에 기고한 겁니다. - - - - - go.. 2018. 2. 2.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