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ㅈㄱㅈ488 15장 실수에서 배우기 팀장 리더십의 핵심개념 '헌신-커뮤니케이션-동기부여-코칭-임파워먼트-팀워크-시간관리-갈등관리-변화관리-인재채용-직원 평가-문제직원 다루기-직원관리-자기표현-자기관리'에 이어 16번째 개념은 '실수에서 배우기'입니다. 15장 실수에서 배우기 실수를 절대 회피하면 안됩니다. 실수는 누구나 하는 것입니다. 실수에서 배워야 합니다. 이미 저지른 실수에 대해 괴로워하며 헛되이 시간을 낭비하는 것보다는 같은 실수를 다시는 반복하지 않는데 전념해야 합니다. - 실수는 또 다른 학습의 경험이다. - 실수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 실수가 일어나지 않게 할 방법은 없다. 실수 이후에도 책임과 권한을 위임받는다면 직원은 실수를 긍정적인 기회로 삼을 수 있습니다. 1. 리더십의 일반적인 오류 가. 도움이 필요할 때 .. 2016. 12. 2. 2017년 사업계획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2017년 사업계획에 대해서 팀 단위로 공유를 하는 시간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직 이야기를 나누지 못한 팀도 있지만, 아침 출근하면서 생각했던 내용을 그림으로 그려보았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ing라는 단서를 넣고 싶습니다. 2017년에는 큰 변화가 있습니다. 2016년에도 목표로 하기는 했지만, 32단지에 대한 사업 확장?에 집중하고자 역량을 결집시켜야 됩니다. 지금까지 진행해온 광교대학로 중심의 사업의 역량은 감소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 부분에 대한 각 팀별 역할, 기능에 대한 소통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부장으로서의 생각은, 광교대학로 중심의 사업은 문화복지팀의 역량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광교2동- 휴먼시아 32단지 중심의 사업은 사례관리팀과 지역조직팀의 콜라보레이션이 되어야 합니다... 2016. 12. 2. 사례관리팀 사례집 스터디 (6) [광교종합사회복지관 사례관리팀 스터디 by 전재일] ‘배움, 소망, 감사가 있는 다섯 복지관 사례관리 실천 공동 발표회 자료집’ 독서 나눔 여섯 번째 시간 7. '김혜정 어르신 이야기' (M사회복지사, B복지관) 김상은 사회복지사가 말합니다. 주거와 관련해서 처음에 주거에 대한 욕구가 있어서 그것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임대주택에 대해 설명하고, 청약주택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사례관리자가 어르신이 스스로 할 수 있는 일들을 이야기하는 것이 의미있게 다가왔다고 말합니다. 자신이라면 임대주택만을 설명하고 끝냈을 것 같은데, 어르신이 할 수 있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 좋았다고 말합니다. (물론 김상은 사회복지사는 최선을 다합니다.) 그리고 사례에서 반찬조리나 텃밭가꾸기, 김장행사의 경우에 기관 내 다른 .. 2016. 12. 1. 내년도 직원 교육 구상 2017년의 직원교육을 구상해보았습니다. 2015년 개관이래, 매년 직원교육 욕구조사를 실시해서 교육을 기획했는데, 2년간 하면서 팀에 필요한 교육이어야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위의 그림처럼 구상을 해 보았습니다. 1. 지역사회조사 2015년에 욕구조사를 했었습니다. 그리고 나름 운영과 사업 방향도 정했습니다. 2년에 한 번씩 욕구조사를 하려고 하는데, 2017년에는 타겟을 더 명확하게 해서 조사를 실시하려고 생각중입니다. 그리고 설문도 필요를 물어보는 조사면 좋겠단 생각을 해봅니다. 또 2015년에는 제가 기획, 분석, 보고서 작성을 했는데, 팀장들에게 기회를 주고자 합니다. 2. 팀 단위 교육 서두에서 기술했듯이 팀 단위 교육을 진행하겠습니다. 팀의 과업 수행을 위한 교육 욕구를 수렴해서, 팀.. 2016. 11. 30. 이전 1 ··· 63 64 65 66 67 68 69 ··· 122 다음